1. 전 거래일(1월 24일) 서울환시
□ 달러/원 환율 거래 동향
거래지표 | 전일 比 | 장중동향 | |
시가 | 1,193.50 | △0.50 | - 달러/원 환율은 주말 전 NDF시장에서 달러화가 반락한 점을 반영하여 전거래일 종가 대비 0.50원 하락한 1,193.50원에 개장함. - 장초에는 전반적인 위험회피 분위기 우세에도 불구하고 1,194원 근처에서 보합권을 이어가던 달러/원 환율은 국내 주식시장 양대지수의 낙폭이 커지자 장 후반에 상승 폭을 키움. 외국인의 국내주식 순매도에 따른 환전수요와 수입업체들의 결제수요가 강하게 유입되며 환율은 전거래일 종가 대비 2.10원 상승한 1,196.10원에 장을 마감함. - 가중평균거래환율(MAR) : 1,194.20원 - 거래량 : 약 73.0억불 |
고가 | 1,196.50 | ||
저가 | 1,192.40 | ||
종가 | 1,196.10 | +2.10 |
□ 아시아 증시 지표
주가지수 | 전일 比 | |
韓 코스피 | 2,792.00 | ▼ 1.49% |
韓 코스닥 | 915.40 | ▼ 2.91% |
日 닛케이 | 27,588.37 | ▲ 0.24% |
中 상해종합 | 3,524.11 | ▲ 0.04% |
□ 전거래일 주요 뉴스
○ 미·중 통화정책 갈림길…글로벌 펀드 中 국채 매수 자극 (SCMP)
- 미국을 포함한 일부 국가가 완화정책에서 이탈하고 있지만 중국 인민은행은 기준금리를 인하하면서 중국 국채에 대규모 자금 유입이 예상된다고 SCMP가 21일 보도함. 지난 4분기부터 중국 경제의 모멘텀이 약화하면서 인민은행은 두 달 연속 기준금리 역할을 하는 대출우대금리(LPR)를 인하했는데, 이로 인해 중국 본토의 국채와 주식이 강세를 나타냄.
- 중국국제투자공사(CICC)의 한 담당자는 "수익률이 상대적으로 낮고 금리 인상으로 가격 하락 위험까지 직면한 해외 채권과 비교해 중국 국채는 여전히 매력적"이라고 평가했으나 소시에테제네랄(SG)은 위안화 약세가 중국 채권 매력을 약화할 수 있다고 전망했음.
※ 1/24 0시 기준, 국내 코로나19 일일 확진자수 : 7,513명 (국내: 7,159명)
2. 뉴욕환시
□ 거래동향
환시 | 美 국채금리 | 증시 | 스왑/Libor/유가 | ||||
EUR/USD | 1.13198 (▼ 0.19%) |
2Y | 0.967% (▼ 2.4bp) |
DOW | 34,364.50 (▲ 0.29%) |
CRS 3Y Mid |
1.505% (▲ 0.030%p) |
USD/JPY | 113.980 (▲ 0.29%) |
10Y | 1.729% (▼ 2.5bp) |
S&P | 4,410.13 (▲ 0.28%) |
Libor 3M | 0.27% (▲ 0.01%p) |
달러인덱스 | 95.931 (▲ 0.29%) |
30Y | 2.076% (▲ 0.8bp) |
NASDAQ | 13,855.13 (▲ 0.63%) |
WTI (3月물) |
83.31 (▼ 2.2%) |
장중동향 | |||||||
- 환시 : 글로벌 달러화는 러-우크라이나의 지정학적 리스크가 커지자 안전자산 선호로 강세 마감 - 美 10Y 국채금리 : FOMC가 계속 다가오며 긴축 경계심이 커지며 혼조세를 나타냄. - 증시 : 장초 큰 폭의 하락세를 보이던 美 증시는 장 막판에 급반등하며 마감 - 유가 : 금융시장 전반의 위험회피 심리가 이어지며 하락 마감 |
□ 주요 뉴스
○ JP모건 "주식시장 과매도 국면…강한 어닝시즌 기대" (CNBC)
- 24일(현지시간) CNBC에 따르면 JP모건은 경제 전반에 걸친 인플레이션에도 견고한 마진으로 뒷받침되는 기업 실적은 여전히 강할 것이라며 최근의 주식시장 매도세가 과도한 수준이라고 분석했음.
- JP모건은 "시장이 과매도 영역에 접근하고 있다"며 "투자심리가 약세로 바뀌면서 이 조정 장세의 마지막 단계에 있을 수 있다"고 말했음.
- 금융시장이 어려울 때 연준이 나서서 자산 가격을 떠받치는 것을 의미하는 연준풋(Fed put)이 나타날 가능성도 언급됐음.
□ 서울환시 거래전망
○ NDF 달러∙원 최종호가 : 1,196.60 (전일 서울환시 종가대비 0.50원↓)
○ 금일 달러/원 환율은 날이 갈수록 고조되는 러-우크라이나 지정학적 리스크에 따른 달러 강세를 반영하여 1,190원대 중반에서 개장 후 추가 상승을 시도할 것으로 전망됨.
'외환(FX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/28(금) 일일시황 (0) | 2022.01.28 |
---|---|
1/26(수) 일일시황 (0) | 2022.01.26 |
1/24(월) 일일시황 (0) | 2022.01.24 |
1/21(금) 일일시황 (0) | 2022.01.21 |
1/20(목) 일일시황 (0) | 2022.01.20 |
댓글0